경제

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방법

매일 다른 하루 2025. 2. 28. 19:34
728x90
반응형
SMALL

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방법은 세법을 잘 활용하면 세금을 절약하면서도 합법적으로 재산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.

아래는 주요 절차와 절세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.


1. 증여와 상속의 차이

  • 증여: 생전에 재산을 자녀에게 미리 주는 것
  • 상속: 사망 후 재산을 법정 상속인에게 물려주는 것

👉 증여는 자녀의 경제적 독립을 돕고, 상속세 절세 효과도 있습니다.


📊 2. 증여세 기본 공제 한도 (2024년 기준, 대한민국)

  • 성인 자녀: 10년 동안 5,000만 원까지 비과세
  • 미성년 자녀: 10년 동안 2,000만 원까지 비과세

✅ 예시:

  • 30세 자녀에게 5,000만 원까지는 세금 없음
  • 18세 자녀에게 2,000만 원까지 세금 없음

📌 증여 대상과 공제 한도 (2024년 기준, 대한민국)

증여 대상10년간 증여세 공제 한도
배우자 6억 원
성인 자녀(만 19세 이상) 5,000만 원
미성년 자녀(만 19세 미만) 2,000만 원
직계존속(부모에게 증여) 5,000만 원
형제·자매·제3자 500만 원

💡 Tip: 공제 한도 내에서는 증여세 신고 의무 없음.


📌 3. 재산별 증여 방법

  1. 현금이나 예금 증여
    •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이체 또는 현금 지급
    • 연 5,000만 원 이하로 나누어 주면 증여세 면제
  2. 부동산 증여
    • 등기 이전 필수 (자녀 명의로 변경)
    • 취득세(3.5%) 및 지방세 추가 발생
    • 공시지가 기준으로 증여세 산출
  3. 주식 증여
    • 상장 주식은 증여일 전후 3개월 평균 주가로 평가
    • 가족 사업 승계 시 활용하기 유리
  4. 자동차 증여
    • 명의 이전 시 증여세 적용 (단, 공제 한도 내면 면세)
    • 자녀가 직접 사용하는 경우 합법적인 이전 가능
  5. 증여세 계산 방법과세표준 (증여재산 - 공제한도)세율누진공제액
    1억 원 이하 10% 없음
    1억 원 ~ 5억 원 20% 1,000만 원
    5억 원 ~ 10억 원 30% 6,000만 원
    10억 원 ~ 30억 원 40% 1억 6,000만 원
    30억 원 초과 50% 4억 6,000만 원
    증여세 계산 공식:
    • (증여재산 – 공제한도) × 세율 – 누진공제액
    📌 예시: 성인 자녀에게 2억 원 증여 시
    • (2억 – 5,000만 원) × 20% – 1,000만 원 = 2,500만 원
  6. 증여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.

💡 4. 증여세 절세 방법

  1. 공제 한도 활용
    • 10년마다 공제 한도를 활용해 나누어 증여하기
  2. 부동산 임대소득 활용
    • 임대 부동산을 자녀에게 증여하고 소득을 자녀 명의로 전환
  3. 가업승계 증여
    • 중소기업을 자녀에게 물려줄 경우 특례 적용 (증여세 5억~100억 원까지 세금 감면)
  4. 보험 활용
    • 자녀 명의의 종신보험 가입 → 사망 시 비과세 혜택

📜 5. 증여세 신고 및 납부 방법

  • 신고 기한: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
  • 신고 방법: 국세청 홈택스에서 온라인 신고 또는 세무서 방문
  • 납부 방법: 일시납 또는 6개월간 분할 납부(2천만 원 이상 시 가능)

📞 세무 상담을 권장하는 경우

  • 5억 원 이상 고액 증여
  • 부동산·가업승계 시 복잡한 세무 처리

 

 
 
728x90
반응형
LIST